Spring

[메타코딩] 8강. 스프링 부트의 동작원리?

joje* 2023. 9. 21. 00:03

1. 스프링은 내장 톰캣을 지닌다.

: 톰캣을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바로 실행이 가능하다.

1.1 웹 서버

: 클라이언트가 정적인(static) 자원(ex>.html..)을 요청할 경우, 이에 대한 처리를 해주는 서버

: 정적인 데이터를 주고 받으므로 각 클라이언트와 소켓 통신을 하게 된다.

 

1.2 톰캣

: 클라이언트로부터 동적인 자원(ex>.jsp..)을 요청받는 경우, 웹 서버는 권한을 톰캣에 넘겨주게 된다.

: 권한을 넘겨받은 톰캣은 해당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 자원을 컴파일 하고, 이를 HTML에 덮어씌운 후 다시 웹 서버에 권한을 이관한다.

: 웹 서버는 이관받은 파일을 response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한다.  

 

1.3 웹 브라우저

: 통신을 통해 .html,javaScript, css. avi등의 파일을 받아 읽어주는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