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JPA는 영속성 컨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영속성: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게 해주는 속성
- 컨텍스트(context): 대상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것, 컨텍스틀 넘겨준다는 것은 대상에 대한 모든 정보를 넘겨준다는 의미와 같다.
- 영속성 컨텍스트:영속성 컨텍스트는 데이터를 영구히 저장하기 위한 방법을 의미하며, 자바에서 DB에 접근해 작업하는 모든 내용을 알고 있다. 영속성 컨텍스트에 있는 데이터와 DB의 데이터는 동기화 된다.영속성 컨텍스트의 데이터들은 데이터베이스 타입의 데이터들이 아니라 변경된 JAVA Object 들로 JAVA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들이다.
5. JPA는 DB와 OOP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공한다.(DB는 객체 저장이 불가능하다.)
: 데이터 베이스 내 각각의 컬럼들은 기본 자료형만을 가지고, Object를 가지지 못한다. 자바 프로그램에서는 기본 자료형이 아닌 Object를 가질 수 있다.따라서, JPA를 이용한 ORM 기법은 OOP(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을 가능하게 해준다.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코딩] 7강. 스프링 부트의 동작원리? (0) | 2023.09.20 |
---|---|
[메타코딩] 6강. JPA(Java Persistence API)란? (0) | 2023.09.15 |
[메타코딩] 4강. JPA(Java Persistence API)란? (0) | 2023.09.10 |
[메타코딩] 3강.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0) | 2023.09.10 |
[메타코딩] 2강.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0) | 2023.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