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메타코딩] 2강.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joje* 2023. 8. 31. 00:55

- 스프링의 특징

5. 스프링은 수많은 필터를 가진다.

- 스프링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체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 수 많은 필터들 중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필터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직접 필터를 생성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필터 영역>

6. 스프링은 수 많은 어노테이션을 가지고 있다.

: 일반적인 주석은 컴파일러가 무시한다.

: 어노테이션은 일종의 주석이지만, 컴파일러가 특정 정보를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주석+힌트). 예를 들어, @override를 이용해 메서드 재정의 시에 재정의할 함수가 있는지 체크해 에러 체크의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스프링에서 어노테이션은 객체 생성에 주로 사용된다. @Component(클래스를 메모리에 로딩), @Autowired(로딩된 객체를 해당 변수에 주입)와 같은 어노테이션이 대표적이다. 

: 스프링의 IOC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class에 @Component 사용시 스프링은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스캔해 heap 메모리 위에 올려준다. 

: 스프링의 DI는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시 스프링은 heap 메모리에 동일한 객체가 있는지 체크하고, 없으면 null 값을 있으면 메모리 위에 올라가 있는 객체의 주소 값을 주입해준다. 

: 스프링이 특정 클래스 내부의 메서드, 필드, 어노테이션을 체크 및 분석하는 기법을 리플렉션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