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5

[Docker]Dockerfile,Docker-compose을 이용해 Tomcat, DB 컨테이너 생성

Dockerfile과 Docker-compose를 이용해 Tomcat, DB 컨테이너를 생성해 로컬에 띄워보는 실습을 시도해보았다. 1. Docker image 생성을 위해 프로젝트에 DockerFile을 추가 후 관련된 내용을 작성한다.2. 생성된 Docker image를 바탕으로 Docker-compose를 이용해 Tomcat 컨테이너를 생성한다.3. postgresql 이미지를 내려받아 Docker-compose를 이용해  DB 컨테이너를 생성한다.4. 기타 설정 - 프로젝트 정보springboot 3.3.4openJDK 17gradle 8.10.1 1. Dockerfile 작성프로젝트 바로 아래에 Dokcerfile을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작성해준다. FROM : 베이스 이미지를 설정해준다. 여기..

docker 2024.09.23

[Docker]WSL2,DockerDesktop Docker 정보 동기화가 안되는 경우

WSL2 환경내에서의 Docker 컨테이너 정보와 DockerDesktop에서의 컨테이너 정보가 동기화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이는 DockerDesktop에서 WSL2에서 사용하는 리눅스 배포판을 활성화 시켜주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로 내부에 WSL2을 이용한 환경구축 시 사용한 배포판을 활성화 시켜주면 된다.  - 설정 -> Resources -> WSL Integration -> 배포판 토글 활성화 -> Apply&restart -> 컴퓨터 재부팅

docker 2024.09.22

[Docker]도커 컨테이너에 WAS 설치 후 배포해보기

개인용 프로젝트에서 Docker 컨테이를 이용해 서버를 여러 대 띄워 사용할 경우가 많지는 않지만 Docker의 전반적인 작동방법을 익힐 수 있을 것 같아 시도해보았다. 실행계획은 아래와 같이 간단하다. 1. 테스트용 Docker 컨테이너 생성2. 테스트 컨테이너 내부에 Tomcat, JDK 설치3. host에서 빌드된 배포파일을 컨테이너 내부 배포경로에 복사4. 서버를 기동시켜서 결과 확인 - DockerDesktop으로 Docker 실행 후 cmd CLI를 이용해 작업, 폐쇄망이 아닌 상황을 가정해 작업하였다. 1. 테스트용 Docker 컨테이너 생성cmd 창에서 아래 명령어를 이용해 test용 컨테이너 생성 및 확인docker run -it --name tomcat -p80:8080 ubuntu:2..

docker 2024.09.18

[Docker]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에러 해결방

- wsl2를 이용해 Docker 이용환경을 구축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마주칠 수 있다.System has not been booted with systemd as init system (PID 1). Can't operate.Failed to connect to bus: Host is down 에러의 원인은 리눅스 환경구축 시 서비스 관리자가 init으로 설정되어 그렇다. Docker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관리자를 systemd로 변경해주어야 한다. 해결방법: 1. wsl2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최소한 wsl 0.67.6 이상 버전) 및 Ubuntu 접속powerShell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wsl --updatewsl -d ubuntu** wsl version 확인 명령어 : wsl --..

docker 2024.09.18

[Docker]Window 환경에서 Docker 실행하기

- Docker는 리눅스를 기반으로 제작된 소프트웨어이므로, 윈도우 환경에서 설치 후 실행하기 위해서 리눅스 환경 구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DockerDesktop 이용 공식 홈페이지에서 DockerDesktop을 다운받아 설치 후 실행 시 Window OS 위에 리눅스 환경 구축을 위한 경량화된 리눅스 가상머신이 올라가 Docker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cmd나 powerShell과 같은 CLI를 이용해 직접 docker를 실행 조작할 수 있으며, DockerDesktop UI를 이용해서도 Docker를 조작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방법이나 21년 08월 이후부터 일부 기능이 유료화되어 이용에 제약이 있다. 참고링크: https://velog.io/@loganjeon..

docker 2024.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