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모두를 위한 postgreSQL

Day1.데이터베이스란 무엇인가?

joje* 2023. 6. 16. 00:35

1.  데이터: 현실에 존재하는 사실적인 자료들의 집합 ex>온도,IQ..

1.1 데이터의 특성

  • 통합데이터: 중복되는 데이터를 줄이는 것
  • 저장데이터:컴퓨터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 운영데이터:조직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는 데이터
  • 공유데이터:개개인의 필요가 아닌 공동의 필요에 의해 저장되는 데이터

2. 데이터베이스: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들을 체계화해서 여러 사람이 공유할 목적으로 통합한 것

2.1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실시간 접근성: 실시간 처리에 의한 응답이 가능해야 함
  • 지속적인 변화: 데이터의 Insert,Delete,Update에 의해 항상 최신 데이터를 유지해야 함
  • 동시공유: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내용의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함
  • 내용에 따른 참조: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데이터를 참조할 때 데이터의 주소나 위치에 의해서가 아닌 사용자가 요구하는 내용을 찾는다.

2.2 데이터 베이스 모델

  • 계층형:1(부모):N(자식) ex> 폴더구조
  • 네트워크형:N(부모):N(자식)
  • 관계형: 데이터를 행과 열고 구분하는 2차원 테이블 형태로 구성해 관리 ex>엑셀
  • 객체-관계형: 관계형에 객체지향 개념을 추가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추가한 것
  • NoSQL:기존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뿐만 아니라 다른 특성들도 부가적으로 지원.생산성이 필요하고 데이터의 규모가 큰 곳에서 사용

2.3 데이터베이스 객체

: 데이터를 저장하려면 논리적인 저장구조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 객체 개념이 필요

: 테이블, 뷰, 인덱스, 시노님, 시퀀스, 함수, 프로시저, 패키지 등이 있다.

 

3. DBMS: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정의,조작,제어 3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음.

  • 정의: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생성,변경,제거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한다는 의미는 테이블을 조작한다는 의미
  • 조작:사용자가 요구하는 데이터를 Insert,Delete,Update 할 수 있다.데이터를 조작한다는 것은 테이블 내의 데이터를 조작한다는 의미
  • 제어: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를 제한하고, 성능을 관리할 수 있다.

'도서 > 모두를 위한 postgre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6. Alter Table  (0) 2023.06.22
DYA5. 데이터의 무결성  (1) 2023.06.21
Day4. 데이터 타입  (0) 2023.06.20
Day3.sql 명령어  (0) 2023.06.19
Day2.PostgreSQL 프로세스 구조  (0) 2023.06.16